선거 막판 윤석열 안철수 단일화로 민심이 요동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책 경쟁은 물론 후보 검증조차 먹히지 않는 치열한 진영 대결 속에 부동층이 승패를 결정지을 거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죠. <br /> <br />이번 선거, 이른바 '캐스팅 보트', 결정권을 쥐고 있는 유권자들을 집중 분석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YTN 미디어홀에 마련된 민심 연구소 가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부분의 선거는 부동층의 선택이 당선자를 정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부동층은 투표를 포기한 기권층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, 끝까지 고민하고 선택하는 신중하면서도 적극적인 유권자들이죠. <br /> <br />여론조사 공표 금지 전, 마지막 조사를 보면, 부동층 비율은 20% 안팎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건 윤석열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 이전 조사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안 후보 지지자들이 이 부동층 대열에 상당수 합류했을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 <br />기존 부동층들은 단일화라는 갑작스러운 선거 구도의 변화를 지켜보며, 더 혼란스러워졌을 수도 있고, 오히려 마음을 정했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분명한 건, 야권 단일화가 부동층의 마음에 어떤 형태로든 불을 질렀다는 거겠죠. <br /> <br />우리나라 선거는 이렇게 매번 역동적이고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에는 부동층의 주류가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와는 달리, 소득 수준이나 지역, 성별이 아닌 연령대, 즉 세대가 부동층의 키워드입니다. <br /> <br />M과 Z, <br /> <br />20대 대선, 부동층을 상징하는 알파벳입니다. <br /> <br />M은 새천년을 뜻하는 밀레니얼의 머리글자를 따왔습니다. <br /> <br />1982년에서 1997년 사이에 태어나서 2000년대 들어 성인이 된 연령층입니다. <br /> <br />Z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건 아니고, X세대에 기원을 둔 '알파벳 순 세대론'의 마지막 주자라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1998년 이후에 태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2030 젊은 세대는 진보 성향으로 분류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민주화는 이뤄졌고, 그 주역이었던 세대는 이제 4050이 됐죠. <br /> <br />지금의 청년들이 과거와는 달리 뚜렷한 정치 성향을 보이지 않는 건, 시대 흐름에 따른, 어쩌면 당연한 변화인지도 모르겠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해서, M과 Z를 하나로 묶기에는 그 간극이 너무 큽니다. <br /> <br />나이로만 볼까요. <br /> <br />유권자 기준으로 보면 만 18세와 만 40세, 무려 스무 살 넘는 차이입니다. <br /> <br />나고 자란 시대와 환경이 다르다 보니, 관심사가 다릅니다. <br /> <br />M세대의 관심사, 부동산이 압도적입니다. <br /> <br />20대 후반에서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지환 (kimjh0704@ytn.co.kr)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0723110039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